본문 바로가기

논술을 위한 과학상식

세포이론 - 6

 

세포의 할 수 있는 일은 믿기 힘들정도로 다양하고 완벽하다. 또한 세포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의 양 또한 엄청나다.

게다가 낭비 없는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서 아주 작은 크기로도 세포의 기능과 정보저장소의 역할을 해낸다.

덕분에 다세포 생물들은 아주 작은 세포들을 아주 많이 갖게 되었고 늘어난 표면적은 다세포 생물의 생존에 엄청나게 도움을 준다.

에 안보일 정도로 작은 하나의 세포는 생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모든 기능과 구조를 가졌다. 그래서 어떤 생명체들은 세포 하나로 살아가기도 한다. 아메바, 유글레나 짚신벌레, 돌말 등이 그런 생명들이다.

 

 

아메바는 단세포 생물의 대명사이다.

무뇌아, 개념 상실의 인간 종족에게도 쓰이나 적혈구보다 훨씬 고등한 세포이다. 일단 아메바는 핵이 있고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여러 세포 내 기관이 있어서 물질대사에 적극적이다.

그리고 아메바는 움직인다. 아메바의 움직임을 위족 운동이라고 하는데, 위족 운동을 알기 위해서는 반고체인 졸(sol)과 겔(gel)을 알아야 한다.

좀 더럽기는 해도 가래는 액체도 고체도 아닌 반고체이며 모양이 쉽게 변하는 졸(sol)이다. 또 모양이 좀처럼 변하지 않는 반고체는 겔(gel)이며 도토로묵이나 젤리가 해당된다.

아메바가 졸(sol)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외부의 충격에 대단히 취약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모양을 유지하느라 많은 에너지를 소모할 것이다. 미토콘드리아라는 강력한 엔진이 있어도 큰 부담이다.

아메바가 겔(gel)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소위 아메바 운동이라고 불리는 위족 운동은 절대로 불가능하다. 아메바의 세포질에는 졸(sol)과 겔(gel)이 모두 있다. 그리고 졸은 언제든지 겔로 바뀔 수 있으며 겔도 졸로 바뀔 수 있다. 상상해 보라 아메바는 움직일 수 있다.

아메바는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양을 변형시켜 먹이를 둘러쌀 수도 있다. 그것은 먹은 거나 다름 없다. 우리의 혈관 속을 누비고 있는 백혈구도 위족 운동으로 병균을 탐식한다.

 

 

세포 수준에서는 농도 차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어쩌지 못하기 때문에 아메바는 본의 아니게 물을 많이 먹을 때가 있다. 목욕을 하고 나와서 손가락 끝이 쭈글쭈글해진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세포들이 본의 아니게 물을 먹어서 그런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조금 지나서 다시 펴지는 것은 물이 다시 빠져 나갔기 때문이다. 사는 곳이 바다나 강 또는 습지이다 보니 아메바는 물을 많이 먹을 수밖에 없다.

다행히 아메바는 내부에 물총을 가지고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많이 들어온 물을 내뿜을 수 있다. 물총의 이름은 수축포이다.

 

유글레나의 수축포

 

"너 아메바냐?”라는 질문은 일반적으로, 당신이 눈치 없이 단세포적인 언행을 했을 때, 당신을 존경하지 않는 것이 확실하고 버릇이 없는 것이 더욱 확실한 인간의 입에서 나올 수 있는 비아냥이다. 하지만 이 4가지 없는 언사의 정확한 용도는 따로 있다. 영화 ‘아일랜드’에서 클론 이완 맥그리거가 자신의 원본을 근사한 집에서 만났을 때 이런 대사가 나왔어야 했다.

 

너 아메바냐?

 

 

아메바는 자신과 닮은 놈을 만드는 게 아니라 자신과 완전히 똑 같이 생긴 놈을 만든다. 아메바는 하나의 개체이자 하나의 세포이다. 아메바의 세포 분열은 아메바 개체의 수가 하나 더 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체 수 늘리기 기법을 ‘이분법’이라고 한다.

 

아메바는 결혼을 해서 자식을 낳지 않는다. 상대에게 마음을 고백하고 떨리는 마음으로 대답을 기다리는 순간도 없으며 축의금 명단을 보관할 필요도 없다. 아메바는 그냥 어느 순간에 자식이 생긴다.

부모 자식 관계가 형성되지 않기에 지들끼리 보살핌도 없고 예의를 지키는 일도 없다. 더욱 부담스러운 것은 똑같이 생긴 놈들이라는 것이다. 아메바들은 거울도 필요 없다. 옆에 있는 클론들을 보면 된다. 아메바 한 마리가 1,000마리 되는 것은 일도 아니다.

아메바 중의 한 놈이 죽는 일이 생기면 나머지 놈들은 십중팔구 다 죽는다. 동족의 죽음을 받아들이기에 너무 감성적이어서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누가 더 건강하거나 약하거나 하지 않는다. 그들은 모두 똑같은 놈들이니까.

 

 

 

 

 

 

'논술을 위한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이론-8(존대말 버전)  (0) 2023.05.26
세포이론-7(존대말 버전)  (0) 2023.05.25
세포이론 - 5  (0) 2023.04.06
세포 이론 - 4  (0) 2023.04.06
세포이론-3  (0)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