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이력을 요약하자면,
기원전 3세기 경에 진개에게 쳐 맞고, 기원전 2세기경에 위만에게 나라 뺏기고, 기원전 1세기경에 한무제에게 eliminated된다고 할 수 있다.
준왕이 고급 청동기 기술을 이용하여 왕 노릇한 국가의 이름은 익산 근처의 건마국으로 추정된다.
준왕이 남하했을 무렵을 기점으로 무덤양식이 갑자기 고조선식으로 바뀐 것으로 추리한 것이다.
기록에 없고, 고고학적 발굴이 없으면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건마국 뒤에 등장하는 천안 근처의 목지국 또한 무덤 양식이 고조선 계열이라는 것과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준왕의 계보가 목지국에서 끊긴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아마도 준왕을 따라나선 고조선계열 유민들이 목지국으로 옮겼거나 삼한의 맹주인 목지국에 병합되었을 수도 있다.
목지국은 낙랑군 이남의 땅에서 군소 군장국가들의 맹주이자 구심체 역할을 한 나라다.
목지국의 왕을 진왕(辰王), 삼한 영역을 진(辰)국이라고 중국이 기록할 만큼 마한, 변한, 진한의 실질적 리더였다.
또한 중국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한 중에서 마한이 가장 크고, 마한의 도읍은 목지국이며, 목지국의 왕을 진왕으로 삼았다. 변한 12국과 진한 12국도 진왕에게 복속하였으며, 진왕은 항상 마한 사람으로 선출했다."
결국 삼한의 모든 군장 국가들이나 연맹왕국들은 마한의 목지국을 통해 중국과 거래했다는 것이다.
위만 조선이 중간에서 커미션을 떼어 먹을 때도, 한사군 아니 낙랑군에게 Made in 한(漢) 제품을 수입할 때도 언제나 목지국을 통하거나 허락을 받았어야 했다.
또한 목지국의 왕위는 부자세습이 안되는 것으로 보아 대단한 왕권을 가지지 못했던 것이 분명하다.
준왕 세력의 레거시인 선진 금속 기술과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대표 역할을 하다가 백제에게 병합돤 연맹왕국이었을 뿐이다.
또 100년 가까이 흘러 서기 원년 즈음에 북쪽에서 또 한 무리의 사람들이 내려왔다.
그 사람들의 사연은 이랬다.
" 졸본 부여 사람 온조이고 저기 미추홀로 길떠나는 사람이 우리 형 비류이다. 우리 엄마는 소서노이고 외할아버지는 졸본 부여의 왕 연타발이다. 아빠가 일찍 죽어서 편모슬하에서 자라던 중에 북부여에서 활 잘쏘는 삼춘이 내려와서 외할아버지의 마음을 빼앗아 갔다. 급기야 울 엄마랑 결혼하더니 외할아버지는 그 삼춘에게 왕을 물려주었다. 거기까지는 괜찮았는데 조금 있으니까 그 삼춘의 원래부인과 원래 아들(유리)이 나타났다. 우리 외할아버지의 나라를 지 아들에게 물려주겠다고 선포까지 했다. 엄마와 형 그리고 나는 개빡쳤다.
이것은 사기 결혼이다. 그 삼춘은 외할아버지와 울엄마를 능멸하고 나라까지 빼앗았다. 그 주몽이라는 삼춘 작자는 우리 형제가 자기 친아들이라고 거짓말까지 시켰다. (삼국사기에는 친아들로 기록) 나는 졸본 부여의 적통이자 부여를 세운 동명왕의 후손이다. 따라서 나의 성씨는 부여씨이지 고씨가 아니다."
형 비류와 달리 온조는 한강의 잠재력을 한 눈에 간파했다.
목지국 진왕에게 한강 근처에서 살게 해달라고 요구해서 위례성(지금의 서울 어디쯤)에 나라를 세웠다. 그리고 이름을 십제(十濟)라고 지었다.
한강을 몰라본 형 비류는 멀리 인천 근처 미추홀에 나라를 세웠다가 후회하고 동생에게 얹혀 살다 죽었다. 형의 백성들까지 떠안은 동생 온조는 백제(伯濟)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본격적인 세력확장에 들어갔다.
온조는 끊임없이 영토전쟁을 하였다.
전쟁 상대는 고조선이 망한 자리에 세워진 낙랑군, 강원도에서 자꾸 쳐들어오는 맥족 떨거지(삼국사기에는 말갈로 기록)들, 그리고 삼한의 본체 목지국이었다.
또한 전쟁을 통해 낙랑군의 철기 문화도 수용했고, 말갈(강원도 맥족)을 물리치면서 군사력 또한 정비하였다.
무엇보다 목지국을 누르고 삼한의 맹주로 떠오르면서 성읍국가 수준이 아닌 영토국가로 성장하였다.
한강 유역을 먹은 근초고왕 때가 백제의 전성기이고, 고구려의 전성기 때는 장수왕이 한강 이남까지 힘을 뻗쳤으며, 진흥왕이 한강을 집어 삼켜 삼국통일의 기반을 닦았다.
조선의 수도는 한강을 끼고 있는 한양이었다.
남한이 북한에 대하여 갖는 가장 큰 지리적 이점은 누가 뭐래도 역시 한강이다.
한반도의 역사는 "한강"을 두고 자리싸움하는 역사이다.
한반도의 역사에서 한강 유역이 차지하는 의미를 보여주는 첫 왕은 바로 온조왕이다.
'논술을 위한 역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무신왕과 호동왕자 (0) | 2023.03.13 |
---|---|
고주몽의 아들 해유리가 황조가를 부르다. (1) | 2023.03.12 |
마한과 예맥족 (1) | 2023.03.02 |
부여의 실패 (1) | 2023.03.02 |
군장국가→연맹왕국→고대왕국 (0) | 2023.03.01 |